간만에 들러본 모 대형 마트의 막걸리 코너에는 이전보다 더 많은 종류의 막걸리들이 구비되어 있었습니다. 몇가지를 구매해 왔는데요. 어제는 울금 막걸리를 마셔보았습니다.

광주의 우리술이란 업체에서 만들었고 국내산 백미 85%, 전분당 10%, 국내산 울금 5%로 만들어졌습니다. 750ml의 용량에 알콜도수는 6도이며 10일간의 유통기한을 가집니다.
막걸리는 초록빛을 띄는 노란색이라 특이한 빛을 지녔으며 마셔보았을때 막걸리의 맛은 느껴지지 않고 과일맛 음료가 아닐까란 생각이 들 정도로 특이한 맛을 가집니다. 아마도 울금의 맛이라 생각하지만 이전에 울금을 먹어본 일이 없어 정확하지는 않네요. 그리고 보통 막걸리에 비해 묽은 편인데 이건 호불호가 갈릴것 같네요. 한병을 마셨을때 다음날 숙취는 심하지 않은 편입니다.
대분분 국내산 재료로 만들어진, 울금의 향이 강하고 묽은 편인 막걸리로 울금을 좋아하거나 부드러운 막걸리를 좋아하는 분들이 좋아하실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마트에 판매하는 제품중에서는 국순당 생막걸리가 아직 일등입니다.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광주의 우리술이란 업체에서 만들었고 국내산 백미 85%, 전분당 10%, 국내산 울금 5%로 만들어졌습니다. 750ml의 용량에 알콜도수는 6도이며 10일간의 유통기한을 가집니다.
막걸리는 초록빛을 띄는 노란색이라 특이한 빛을 지녔으며 마셔보았을때 막걸리의 맛은 느껴지지 않고 과일맛 음료가 아닐까란 생각이 들 정도로 특이한 맛을 가집니다. 아마도 울금의 맛이라 생각하지만 이전에 울금을 먹어본 일이 없어 정확하지는 않네요. 그리고 보통 막걸리에 비해 묽은 편인데 이건 호불호가 갈릴것 같네요. 한병을 마셨을때 다음날 숙취는 심하지 않은 편입니다.
대분분 국내산 재료로 만들어진, 울금의 향이 강하고 묽은 편인 막걸리로 울금을 좋아하거나 부드러운 막걸리를 좋아하는 분들이 좋아하실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마트에 판매하는 제품중에서는 국순당 생막걸리가 아직 일등입니다.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